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뉴스 수집 Real Estate News(KR)

“우리 동네 재건축 늦어지는거 아냐?”...전국 곳곳 무슨 일이

 

대한건설협회 PF실태 설문

PF 막히며 자금경색 시달려
응답 현장 14% 공사 중단·지연
전국 최소 32곳 현장서 ‘스톱’
중소社 감안땐 수백곳 달할 듯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부동산 시장의 극심한 자금경색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거나 아예 사업이 중단된 PF(프로젝트파이낸싱)현장이 전국에 최소 32곳 있는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집계됐다. 설문에 응하지 않은 업체들이 90%나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수백여 곳의 PF사업장에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6일 대한건설협회의 ‘부동산PF 관련 건설사 애로상황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협회 회원사들이 시공에 참여 중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231곳 중 32곳(13.9%)이 사업이 지연되거나 아예 중단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말 설문(익명)을 통해 조사한 결과로, 비주거 사업을 위주로 하는 전국 종합건설사 35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에 응한 업체는 355개사 중 36개사(10.1%)에 불과해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된 현장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협회 관계자는 “익명이라고 해도 회사의 부정적인 상황을 조사하는 설문에는 응답률이 떨어지기 마련”이라며 “실제 공사 지연·중단 현장은 더 많을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착공 후 문제가 생겨 공사가 지연된 현장은 25곳, 공사가 중단돼 사업 자체가 어그러질 위기에 놓인 현장은 7곳에 달했다. 협회 관계자는 7곳에 대해 “PF실행이 불가한 것으로 결정돼 사업이 중단된 곳들”이라고 설명했다. 32개 현장 중엔 아파트 등 주거시설 공사 현장이 15곳으로 가장 많았고 △오피스텔 등 준주거시설 (5곳) △상업시설(5곳) △지식산업센터(4곳) △물류창고(3곳) 등 현장들도 다수 있었다. 공사가 아예 중단된 현장 역시 주거시설(5곳)이 가장 많았고, 준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각각 한 곳씩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가 중단·지연의 가장 큰 이유로는 ‘자재수급 차질’이 35%, ‘PF 미실행 등 자금조달 어려움’이 30%로 조사됐다. 미분양, 공사비 인상 거부(이상 12.5%), 시행사 부도 등 기타 이유(10%)도 상당부분 차지했다. 특히 설문에 응답한 사업장 231곳(36개 업체)중 20곳이 건설사 자체 시행사업 현장이었는데, 이중 7곳(35%)은 PF대출을 거절당해 사업이 중단(6곳)되거나, 대출이 지연돼 공사에 지장이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

도급사업의 경우 절반 가량이 시행사(사업시행주채)로부터 도급공사액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13곳의 미회수 도급공사액은 총 1조 8543억원으로, 이는 이들의 총 도급계약금액(7조4415억원)의 24.9%에 달했다. 이는 불과 두 달 전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10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마찬가지로 협회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당시 미회수된 도급액 비중은 9.4%에 불과했다. 두달여만에 미회수액 비중이 급격히 불어난 셈이다.

PF부실화에 따른 업체당 평균 예상손실액은 브릿지론 과정에서 부실화된 곳이 785억원, 본PF 과정에서 부실화된 현장의 업체가 2024억원으로 조사됐다. 예상손실액에는 각PF 과정에서 지급보증을 한 건설사가 대신 갚아야 할 금액에다가 공사기간 중 발생한 금융비용 등을 더한 수치다. 응답 업체들 중 78.8%는 올 상반기까지 자금여건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변화 없을 것’이라 응답한 곳은 21.2%, 개선될 것이라 답한 업체는 한 곳도 없었다.

-매경 연규욱기자